n-부탄이 iso-부탄보다 녹는점 끓는점이 높은 이유 탄화수소에서 분자간의 결합력은 분산력(London force)이라 불리는 유발이중극자 사이의 인력입니다. 분산력이 탄화수소 분자를 잡고 있는 힘입니다. 분산력의 차이가 곧 녹는점, 끓는점의 차이입니다. 분산력은 1. 분자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전자수 2. 전자들이 순간적인 쌍극자를 생성하기 위해 얼마.. 과학이야기 2006.10.11
염의 수용액의 액성 염의 수용액의 액성은 간단하게 따지는 방법이 있습니다. 센놈을 따라간다는 법칙이죠. 강산 + 약염기 ==> 산성 : NH4Cl, MgCl2 약산 + 강염기 ==> 염기성 : CH3COONa,Na2CO3 약산 + 약염기 ==> 중성 : CH3COONH4 둘 다 강할 때는 H+가 있으면 산성, OH-가 있으면 염기성을 띱니다. NaHSO4 : 강산인 H2SO4와 강염기인 NaOH.. 과학이야기 2006.10.11
아스피린 합성 위 그림에서 보시는것처럼 아세틸 살리실산의 상품명이 아스피린입니다. 벤젠고리에 붙어 있는 -OH기가 아세트산의 카르보닐기를 공격함으로써 진행되는 반응입니다. 고로 아세틸 살리실산=아스피린 밑의 반응식은 살리실산 메틸을 만드는 반응식입니다. 과학이야기 2006.10.11
알칸의 할로겐 치환반응 유기 화학 반응은 결국 전자의 이동에 의해 결정되는 반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유기 화학 반응의 메커니즘을 나타낼때는 전자의 이동을 표시하게 됩니다. 전자의 이동은 아래와 같이 꼬부라진 화살표로 나타냅니다 꼬부라진 화살표의 화살촉이 온전한 모양이면 두개의 전자가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 과학이야기 2006.10.11
수산화 나트륨이 수소결합을 하지 않는 이유 수소결합을 하기위해서는 극성 공유결합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H-O-H 를 생각해 보면 O가 전기 음성도가 크므로 공유 전자의 분포는 O쪽으로 치우쳐 있게 됩니다. 따라서 O는 음전하의 성격을 갖게 되고 H는 상대적으로 전자가 적으므로 양전하의 성격을 갖게 됩니다. 이런 전하의 성질에 의해 O와 이웃.. 과학이야기 2006.10.09
dsp3혼성 오비탈 P원자의 경우 혼성 오비탈을 이룰 수 있습니다. PCl5의 경우 3s에 있는 전자 하나가 3dz2오비탈로 건너 가서 dsp3 혼성 오비탈을 이룹니다. 그리고 PH3의 경우 세개의 수소 원자가 거의 직각에 가까운 구조를 이루고 쌍극자 모멘트도 거의 갖고 있지 않으니까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P의 p orbital과 H의 s orbit.. 과학이야기 2006.10.09
RH 혈액형과 적아세포증 혈액형이란 기본적으로 항원 항체 반응입니다. 항원(antigen)이란 생물체 몸에 들어온 외부의 단백질을 말하며 항체(antibody)란 이 항원을 무력화 시키기 위해 방어기제로 생산되는 단백질을 말합니다. 생물체는 항원 단백질 표면을 인식해서 이에 맞는 항체를 생산하게 되게 되고 이렇게 생산된 항체는 .. 과학이야기 2006.10.09
할로겐 원소의 끓는점 녹는점 할로겐 분자간의 결합력은 분산력(London force)이라 불리는 유발이중극자 사이의 인력입니다. 각각의 할로겐 분자(Br2, Cl2, I2, F2)는 무극성 분자이므로 분자간의 분산력이 인력으로 작용합니다. 분산력의 차이가 곧 녹는점, 끓는점의 차이입니다. 분산력은 1. 분자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전자수 2. 전자들.. 과학이야기 2006.10.09
은거울 반응시 암모니아수를 넣는 이유 질산은 금속이온과 이온 화합물을 생성했을때 물에 매우 잘 녹습니다. 따라서 질산은은 상당히 잘 녹는 화합물이고 물속에서는 Ag+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암모니아수를 넣게 되면 Ag+ + NH3 -> Ag(NH3)+ Ag(NH3)+ + NH3 -> Ag(NH3)2+ 형태의 착이온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렇게 착이온 상태가 되면 은은 물속에.. 과학이야기 2006.10.09
카페인 추출 실험 카페인은 알킬로이드 계열의 화합물로 홍차, 녹차, 커피에 많이 있습니다. 카페인은 물에 잘 녹지 않는 (2 mM정도가 최대 용해도 입니다) 소수성 물질로 유기 용매(주로 디클로로메탄)를 이용해 추출하게 됩니다. 그런데 카페인 이외에 탄닌이라는 성분도 같이 따라오게 됩니다. 이 성분은 떫은맛을 내.. 과학이야기 2006.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