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원자의 경우 혼성 오비탈을 이룰 수 있습니다.
PCl5의 경우 3s에 있는 전자 하나가 3dz2오비탈로 건너 가서 dsp3 혼성 오비탈을 이룹니다.
그리고 PH3의 경우 세개의 수소 원자가 거의 직각에 가까운 구조를 이루고 쌍극자 모멘트도 거의 갖고 있지 않으니까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P의 p orbital과 H의 s orbital이 sigma결합을 이루고 혼성을 하지 않는다 라고 설명을 하는겁니다.
주어진 분자의 구조에 대해서 조사를 하고 그에 맞는 설명을 찾기 위해 혼성이란 개념을 쓰는겁니다.
아래 그림이 바로 dsp3혼성 오비탈에 대한 설명입니다.
'과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칸의 할로겐 치환반응 (0) | 2006.10.11 |
---|---|
수산화 나트륨이 수소결합을 하지 않는 이유 (0) | 2006.10.09 |
RH 혈액형과 적아세포증 (0) | 2006.10.09 |
할로겐 원소의 끓는점 녹는점 (0) | 2006.10.09 |
은거울 반응시 암모니아수를 넣는 이유 (0) | 2006.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