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모 글로빈과 미오글로빈 미오글로빈은 근육세포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헤모글로빈은 혈액내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왜 근육에서는 헤모글로빈이 아니라 미오글로빈이 산소를 운반할까요? 아래 그림을 보시면 미오글로빈은 헤모글로빈에 비해서 낮은 산소 분압에서 금방 포화되지만 반면에 아주 아주.. 과학이야기 2006.08.17
헤모글로빈과 미오글로빈의 차이 헤모글로빈과 미오글로빈은 모두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이지만 산소 분압에 따른 산소 결합정도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두가지 단백질이 구조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두가지 단백질 모두 헴(Heme)이라고 불리는, 중심에 Fe이 있고 단백질의 아미노산이 배위결합하는 형태로 있는 구.. 과학이야기 2006.08.15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이용한 선별원리 대장균내에 플라스미드가 삽입되면 플라스미드 DNA는 대장균내에 대장균의 DNA와 별개로 존재하게 됩니다. 대장균이 증식을할때 대장균의 DNA는 복제가 되지만 만일 플라스미드에 자체 복제 능력이 없다면 대장균 DNA가 복제될때 옆에서 구경만 하고 있어야 되지요. 따라서 플라스미드 자체내에 복제 능.. 과학이야기 2006.08.15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란 무엇인가 줄기 세포는 적절한 조건과 자극이 주어지면 신체의 모든 기관으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를 말합니다. 난자와 정자가 수정되면 수정란이 생성되고 이 수정란이 세포 분열을 거듭하면 배반포를 형성하게 됩니다. 난관에서 수정이 이루어지고 배반포 상태에서 자궁에 착상되게 됩니다. 배반포에서 적절.. 과학이야기 2006.08.15
DNA 지문분석의 원리 요즘 전국민의 생물학 지식 지수가 쑥쑥 올라가고 있는 와중에 "DNA 지문 분석(DNA fingerprinting)"이란 말이 자주나오고 있습니다. 대체 DNA fingerprinting이 뭔지 나름대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혹시나 잘못되거나 틀린부분 있으면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개념이 작년인가 수능 모의고사에도 나왔던거 같.. 과학이야기 2006.08.15